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과 실무

전기의 이해 AC와 DV 전압설명

by 스베니르 2022. 7. 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베니르 입니다!

 

여러분은 건전지에 쓰는 전기와 집에서 쓰는

전기가 다르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전기의-이해
AC DV

 

오늘은 우리가 매일 쓰는 전기의 기본 내용과

전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 들어가자!!

 

전류란?

Current 전선 중의 자유 전자는 음(-)의 전하로 전지의 양(+) 극으로 끌려가고,

전지의 음극에서는 음 전하가 계속 공급되어 전자의 흐름이 계속되는데 이를

전자의 흐름 전류라 합니다.

이와 같이 흐르는 전기를 동전기라 하며, 전류는 음에서 양쪽으로 흐릅니다.

 

 

 

 

 

AC와 DC의 차이

1. 교류 (Alternating Current : AC)

 

2. 직류 (Direct Current: DC)

크게 말하면 “주기”로 볼 수 있습니다.

 

주기 (Period)란?
진동이나 파동, 혹은 똑같은 모양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되는 
현상으로, 반복이 일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 간격을 말합니다.



AC는 주기가 파형이므로 주파수(Frequency)가 있습니다.
*보통 220 VRMS/ 60Hz
60Hz 👉 1초에 60번의 전압의 변화(+/9가 서로 교차하는 현상)
이 생기는 걸 말합니다.
한국전력에서 가정집에 공급해주는 사용 전류이며, 가정집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AC-교류
교류

 

 

직류-DV
직류

 

 


 DC(직류)는 반대로 주기가 없이 일정한 파형으로 출력되는 게
특징입니다.
일정하게 나가는 게 특징인 DC는 주로 자동차 배터리나 일반 건전지
와 같은 곳에 쓰입니다.

 

직류와 교류의 차이에 따른 활용도

🎇 직류(DV)는 저장이 가능하지만, 교류(AC)는 저장이 불가합니다

* 계속되는 흐름을 가지는 교류는 저장이 불가능하죠.. 

그래서 일정하게 흐르는 직류를 건전지나 배터리로 쓰는 겁니다!!

 

🎇 반대로 직류(DC)는 전압 변경이 어려운 편이며, 교류 (AC)는 변압기를 사용하면

쉽게 전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전구
반짝반짝 전구

 

 

🎇직류는 전압 세기가 일정하여 기기에 대미지가 거의 가해지지 않기에

공장 등에 많이 쓰입니다. (교류처럼 왔다 갔다 하는 전력이면 기계에

무리가 가겠지요?)

반대로 말하면, 일정한 전압으로 단거리에서만 이용됩니다.

= 위에서 언급했듯이 장거리 송전은 AC로 하는 이유는 이 이유에도

있습니다.

한국전력에서 멀리까지 쏴줘야 하면 AC를 써야겠죠?

 

 

 

 

 

전압이란?

Voltage

회로 내에 어떠한 전기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기적인 압력을

전압이라고 합니다. 이 전류를 연속해서 흐르게 하기 위하여 전압을 연속적으로 만들어

주는 힘을 기전력(Electrimotive force)이라 하며,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전원이라고

합니다.

 

또한 전압은 전기의 시작점인 양극에서 최대 값을 가지며, 전기의 통로를 따라서 

감소하다가 음극에서 최소의 값이 되며, 임의의 점에서의 전압의 값을 그 점의 

전위(Electric potential)라 하며, 두 점간의 전위의 차를 전위차(Electric potential

difference)라 하며, 이 크기의 단위는 모두 똑같은 볼트(Volt)를 사용합니다.

 

두 용기의 수위 차에 의해 용기 A에서 용기 B로 물이 흐르듯이 전기적인 흐름도

두 지점의 전위차가 존재하여 전기가 흐를 수 있습니다.

전압-설명
전위차 예시

 

오늘은 실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전기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배터리의 전기와 가정집의 전기가 왜 다른지 정도는 알아두시면

나중에 아는척하실 때 분명 도움이 되실 거예요 😂😂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구독하기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