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베니르 입니다.
오늘은 사람들이 마냥 배 혹은 비행기 하위 호완으로
알고 있는 배 (선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단순히 알고 있는 것보다 정의와 기능을 알면
살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되실 거예요 😍❗❗
선박의 정의
수상에서 사람 또는 물건을 싣고, 이것들을 운반하는 데
쓰이는 구조물
영어로 구분시
- SHIP: 대형선
- BOAT: 소형선
- VESSEL: 대소형선 모두를 포괄하는 뜻
선박의 기능
1. 기본 기능
1) 부양기능 (Floatation Capability): 선박은 무거운 짐을 싣고 물에 뜨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함
2) 추진기능 (Self Propulsion Performance): 선박은 물에 떠서 갈 수 있어야 함
3) 구조 기능 (Vessel Structural Strength): 선박은 튼튼한 그릇으로서의 역할을
해야 함
4) 화물 적재와 안정성 및 복원력 (Cargo Loading and Stability): 석반은 짐을 싣고도
안전해야 함 (기울거나 쓰러지지 말아야 함)
5) 운동성능 (Ship Motion Characteristics): 선박은 항해 중에 진행 방향이 안정되어
야하며 앞뒤로 움직이는 Pitching이나 옆으로 움직이는 Rolling이 심하지
않아야 함
6) 조종 성능 (Maneuverability) : 선박은 좁은 항만이나 해협에서도 안전하게 조정이
가능해야 함
선박의 기본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면 운항 기능과 나머지에 대해
알아볼까요?
2. 운항기능
1) 조선 장치 (Steering System): 선박은 방향타와 조타기를 장착하여 희망하는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2) 화물 적재 및 적하역 (Cargo Stowage, Loading and Unloading): 선박은 화물을
실고 갈무리하고 내릴 수 있어야 함
3) 개선 계류 설비 (Mooring Facility): 선박은 항만의 부두 안벽에 묶어 둘 수 있어야
하고 항만 내외에서 닻을 내리고 정지할 수 있어야 함.
4) 항해 및 통신설비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선박은 속력 제어, 위치 파악이나
방향유지, 장애물 예지, 그리고 통신 기능 등 항해에 필요한 모든 설비를 갖추어야 함
3. 동력 발생 기능
1) 주기 (Main Propulsion Engine): 선박은 주추진 동력발생 주기를 장착하고
추진장치를 구동토록 한다.
2) 기관실 보조기기 (Engine Room Auxiliary Equipment): 선박은 전력, 증기
압축공기, 유압, 증류수 등 동력과 기타 에너지원을 만드는 발생장치를 설비한다.
또한 연료유와 윤활유의 순환 및 세정장치와 냉각수 순환장치와 열교환기를
설비한다.
4. 거주 및 인명
1) 선원 거주구 설비 (Crew accommodation Facility): 선박은 선원이 살며 일할 수
있도록 취사와 취침용 선실을 갖추어야 함
2) 소화장치 및 구명 장치 (Fire Extinguishing and Saving Equipments):
선박은 해난시의 인명구조 설비와 화재 시의 재산의 안전을 위하여 화재예방과
소방장치를 각각 갖추어야 함.
선박의 톤수
보통 사람들이 많이 아는 선박의 크기는 톤(Tonnage)인데요.
선박에서 사용되는 톤은 중량의 단위로서의 톤뿐 아니라,
용적의 개념으로도 to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아래의
5가지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 총톤수 (Gross Tonnage : GT) 용적으로의 톤
Capacity Tonnage (용적톤)로서 선각으로 둘러싸인 선체 총용적으로
부터 상갑판 상부에 있는 추진, 항해, 안전, 위생에
관계된 공간을 차감한 전용적입니다.
2. 순톤수 (Net Tonnage : NT) 용적으로의 톤
직접 영업행위에 사용되는 면적, 즉 화물과 여객의 수송에 제공되는
용적을 말합니다.
즉 위의 총톤수에서 선박 운항에 이용되는 부분의 적량 (선원실, 해도실, 기관실 등)을
뺀 순 적량을 톤수로 환산한 수치로 총톤수와 같이 100FT 3을 1톤으로 보며,
보통 총통수의 약 0.65배 정도에 해당합니다. 순톤수는 직접 상행위를 하는
용적이므로 항세, 톤세, 운하 통과료, 등대 사용료, 항만시설 사용료의
기준이 됩니다.
3. 재화중량 톤수 (Deadweigt Tonnage : DWT) 중량으로의 톤
선박이 적재할 수 있는 화물의 중량을 말하며, 여기에는 화물, 여객, 선원 및 소지품,
연료, 음료수, 식량, 선용품 등의 일체가 포함되어 있으며, 실제 수송할 수
있는 화물의 톤수는 재화 중량톤 수로부터 이들 각종의 중량을 차감한 것이 됩니다.
4. 배수량 톤수 (Displacement Tonnage : DISPT)
물 위에 떠있는 선박의 수면 아래 부피와 동일한 물의 중량이 배수톤수이며,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 의한 선박의 무게로 주로 군함에서 쓰이는 톤수
5. 표준화물선 환산 톤수 (Compensated Gross Tonnage : CGT)
CGT는 선박의 가공 공수, 설비능력 및 선가 등 GT에서는 나타낼 수 없었던 것을
상대적인 지수 표시인 CGT계수를 사용하여 구한 것
오늘은 선박의 정의와 무게와
용적에 의한 톤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마냥 배라고 알고 있던 내용을 디테일하게
알고 나니 새롭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아는 것이 힘"이라는 말이 있지요!
비록 실생활에선 필요하지 않더라도
알고 있으면 재밌는 선박의 이모저모입니다!!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