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과 실무

도급과 사급의 차이와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by 스베니르 2022. 7. 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베니르 입니다 😘

 

회사를 다니다 보면 그리고 제조처와

협업을 하게 되면 사급과 도급에 대해 

많이 들어보게 될 거예요.

 

개념 자체도 생소하고, 봐도 봐도 몰라서

스베니르가 직접 예시로 설명해보는

도급과 사급입니다!!

예시를 통해 쉽게 알아봅시다 😍

 

도급과-사급
도급과 사급


도급과 사급의 차이


- 원자재 공급 방식의 차이
도급은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어떤 장소를 선정해줬을 때 그 장소에서
직접 원자재를 받게 되는 것 

사급:은 오너가 직접 원자재를 주는 업체를
지정하거나 위임을 해준 곳에서
원자재를 직접 제공을 하주는 것을 의미

 

 

 


도급 (위임)
업무의 일정 부분을 제삼자에게 맡기는 것 
- 계획한 업무의 일정 부분을 전문 업체에 맡겨 업무를 진행해 나가는 것

도급 자재
원도급 업체가 원자재를 직접 사서
하청업체에 주는 것을 말함.

why. 원사업자가 해당 원자재를 대량으로
구매해두고 뿌리는 게 가능하므로 대량 구매할 때의
할인을 받을 수 있으므로 도급 자재 이용

단점. 원자재에 대한 퀄리티나 공사방법의
차이로 하청업체와 분쟁이 생길 수 있음

보다 자세히 풀어서 설명해볼게요!!

 

손을-맞된-사무실

 

거래에 있어 구매자판매자가 있다면

판매자가 직접 물건을 조달하면 도급방식

 

반대로 구매자가 원료를 조달하여 판매자에게

공급하는 방식

 

예시로 쉽게 보는 도급과 사급

 

여기 구매자 (식당 사장)과 판매자 (식자재 유통업자)가 

있습니다.

 

식당에는 여러 가지 재료가(쌀, 야채,

과일 등)이 들어가기에 판매자(식자재 유통업자)는 

모든 재료를 조달하기가 어렵기에 식자재를

조달하기 위해 여러 루트를 거칠 거예요.

 

❗ 여기서 판매자(식자재 유통업자)가 직접

재료(고기)를 준비했다면 도급

 

도급
도급의 이해

 

 

 

 

❗ 판매자(식자재 유통업자)에게 구매자(식당 사장)가

재료(고기)를 준비해줬다면 사급입니다.

 

사급
사급의 이해

 

사급의 종류


자신의 업무의 일부를 제삼자에게 맡기는 것까지는
동일하지만, 

유상사급 무상사급으로 나뉨



유상사급
유상사급

 

유상사급

원료 단가가 합쳐져 공급되는 원재료
발주자가 원자재를 공급,
하청은 제품을 가공한 뒤 가공비만 받고
가공된 자래를 발주자에게 넘기는 것을 말함

 

 

무상사급
무상사급



무상사급

원료 단가가 없는 상황에서 공급받는 원재료
발주자가 원자재를 사서 하청에게 제공해주는 자재

 

= 기본적으로 고깃값 + 스테이크로의 가공비 합 1000원을 

구매자(식당 사장)가 판매자(식자재 유통업자)에게 주는 건 동일하나

 

 

 

 

무상사급일 때는 한 번에 1000원을 몰아서 지출,

유상사급일 때는 판매자가 고기를 사 올 때 100원, 가공한 스테이크를

받을 때 900원 이렇게 나누어 계산하는 것이 다릅니다.

 

 

사급의 장단점

 

● 장점

원가 절감

판매자(식당업자)는 많은 양의 공급을 충당하기 위해

재료(고기)를 대량으로 구매합니다.

아무래도 단품으로 건건이 구매하는 것과 달리

대량 구매는 할인이 많이 되니 판매자(식자재 유통업자)가

구매하는 것보다 더 싸게 구입할 수 있겠죠

 

원자재로 예시를 든다면, 

판매자가 해당 품목에 대해 수입허가가 없는 경우나,

구매자에게만 면세혜택이 이루어지는 경우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사급을 이용합니다.

 

● 단점

구매자(식당 사장) 측에서의 단점으로

만약 재료(고기)의 품질이 좋지 않다면, 이러한

품질적 문제가 생길 시, 판매자 (유통업자)에게

이의를 제기할 수 없습니다.

(가공 중에 일어난 문제인지 품질 문제 인지 모호해짐)

 

판매자(유통업자) 측 단점

원가정보의 누출

판매자 측 입장에서는 가공만 해주기에,

재료의 원가는 공개된 상황이고, 가공비 (인건비 + 마진율 + 공장 사용료) 등이

모두 공개될 수가 있습니다.

이는 이후 계약 입찰 시 자신의 발목을 붙잡는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ㅠ

 

 

사무실-풍경
사무실 회의하는 모습

 

오늘은 사급과 도급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저도 처음에 개념이 헷갈렸는데, 예시를 찬찬히

보면서 공부하니 쉽게 이해가 되더라고요

 

유상사급과 무상사급은 위의 장단점 외에도 회계적인

시급에 따른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회계에 관련된 거라 저도 공부해서 알려드릴게요!!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구독하기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