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태료 청구소 받은 썰 및 범칙금, 과태료의 이해 벌점 확인하는 법
안녕하세요.
스베니르 입니다.
날이 점점 추워지는 10월 초의 어느 날 한통의 우편을 받게 됩니다.
아니 이게 무엇이요?
평소에 양보 운전한다고 다 끼워주다가 신호 놓친 게 몇 번인데.. ㅠ
통지서를 얼마 전에 용인 놀러 간 적이 있었는데 카페에서 나오는 걸 찍힌 것이다.
심지어 이 카페는 자리가 없어 대기하다가 차로 5분 만에 나온 곳이었다.
(카페 이용이라도 했으면 덜 억울)
그때 상황이 1차로를 지나서 2차로로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었는데, 1차로 2차로 차들이 나오길
기다려줘서 비상 깜빡이로 고맙다고 표현한 게 생각이 난다.
내가 잘못하여 날아온 과태료 청구서지만 이렇게 남이 신고해서 받게 되니 먼가 기분이 묘하다..
다음에는 이런 불상사가 없도록 안전 운전하겠습니다 ㅠ
아무튼 이렇게 과태료 청구서가 날아온 김에 리뷰를 해볼까 합니다. ㅎ
사실 과태료 통지서에 있는 가상계좌에 과태료를 입금만 하면 됩니다.
그렇지만 오늘은 경찰청 민원 24를 통해 범칙금과 과태료 조회, 그리고 나 자신이
벌점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는 법을 포스팅하겠습니다.
초록창에 경찰청 교통민원 24에 들어가신 후
https://www.efine.go.kr/main/main.do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www.efine.go.kr
누군가 시간을 내서 자신의 블랙박스로 찍은 영상을 경찰청 홈페이지에
정성스럽게 로그인과 공인인증서 로그인 절차를 하고 제보하기를 했다는 게 내가 많이 잘못했나 보다..
교통 범칙금, 과태료 카테고리에 들어가시면 최근 무인 단속 내역과 범칙, 과태료 상황을
알 수 있습니다.
내가 잘못한 게 맞아서 할 말이 없어요..
상세 홈페이지에 있는 가상계좌번호로 입금을 하시면 미납금 내역에서 바로 입금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범칙금과 과태료의 차이를 모르시는 거 같아 간단히 표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범칙금 |
과태료 |
실제 운전자에게 부과되는 벌금 |
자동차에 매겨지는 벌금 |
-벌점이 있음. |
벌점 없음 |
-벌점 40점 이상이면 면허정지 (1점 당 1일) |
가벼운 행정명령 처리되나 |
-벌점 40점 미만은 최종 위반일부터 |
납부기간이 지나거나 |
1년 동안 벌점이 추가 안될 시 소멸 |
과태료 누적 시 |
3년 동안 누적 벌점이 271점 이상이면 면허취소 |
차량 압류가 될 수도 있음 |
결론적으로, 일반적으로 과태료가 범칙금보다 많이 나옵니다. 그렇지만 범칙금을 내면 벌점이라는 것 이 쌓이게 되고 이는 교통법규위반으로 남게 되어 보험료 인상 및, 벌점 누적으로 인한 면허취소 및 정지의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비싸더라도 과태료를 내는 게 더 좋겠죠? |
또한 경찰청 민원 24 홈페이지에는 자신의 벌점의 확인할 수 있는 기능도 있으니 시간이 있다면
한번씩 봐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과태료와 범칙금 그리고 벌점에 대한 리뷰를 해보았습니다.
제 운전 부주의로 깜짝 놀라셨을 블박 운전자분께 죄송한 말씀을 전하면서
한편으로 이렇게 과태료, 범칙금에 대한 공부의 기회를 주셔서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여러분도 안전 운전하시고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