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의 모든 이슈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와 원인과 러시아전쟁

by 스베니르 2022. 7. 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베니르 입니다 😍

 

더운 여름 슬기롭게 보내고 계신가요?

 

날씨가 더운 것도 더운 거지만, 소비자 물가가

폭발적으로 상승하면서, 밥상머리 물가도 핫해지고 있는데요.

 

소비자물가의 폭발적인 증가 이유와 슬기롭게 대처해야 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시간은-금이다
기준금리

 

소비자물가지수 

CPI: Consumer price index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하여 구입하는 각종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표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는 통계청에서 작성하고 있으며 

100년을 기준년으로 작성 중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안 잡히는 이유

소비자물가지수는 유가 즉 기름값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결정적인 원인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인데요

 

전쟁이 발발 후 5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렀는데요,

많은 전문가들의 예상과 다르게, 

러시아 주가는 전쟁 이후 50% 급등하였고, 루블화는 100% 넘게

상승하면서 호황을 누리게 되었습니다.

 

 

 

 

이에 미국 등 세계 각국은 루블화의 급등을 저지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20%-> 9.5%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이런 상황에, 미국 말을 잘 듣지 않는 사우디는

원유 값 폭등으로 경제 성장률이 10% 이상 폭등하는

대호황, 

또 미국과 냉전 중인 중국과 인도는 제재를 받는 러시아 원유를

약 30% 씩 싸게 구매하고 있습니다.

 

원유값-폭등
러시아 원유값 폭등

 

역대급 소비자물가 상승

7월 첫째 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발표되었습니다.

통계청은 24년 만에 6% 물가 인승률이 현실화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문제는 아직 정점이 아니라는 점!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높은 환율과 고유가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고, 전기 가스요금 및 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 악재가 여전히

버티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은행은 물가를 잡기 위해 또다시 기준금리 인상이라는

카드를 쓰려고 하고 있습니다.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인플레를 잠깐 잡을 수는 있겠지만, 경기와

소비심리를 악화시키는 단점이 있습니다.

 

통계청은 6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 5월 물가 상승률은 5.4%로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았는데,

지난달은 0.6%로 오른 6%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1998년 11월 6.8% 이후 가장 높게 오른 수치입니다.

 

 

하반기에도 지속될 상승폭

근래 경험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은 올해 하반기에도 지속될 예정입니다.

7월부터 전기요금이 4인 가정 가구 평균 월 1535원, 가스요금은 2220원

오르는 등 공공요금 인상이 예쌍 되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와 우크라 전쟁으로 인해 국제유가가 380달러를 도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저축이-짱입니다
저축하기

 

오늘의 소식 어떠셨나요?

폭발적인 상승폭의 물가인상으로 다들 울상이실 텐데요..

이런 상승이 하반기에도 계속된다는 점이 암울하게 느껴집니다..

부디 전쟁이 마무리되고, 소비자 물가도 잡혔으면 좋겠습니다.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구독하기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