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진율 계산과 경쟁사 분석하는 법
안녕하세요.
스베니르 입니다.
오늘은 저번 시간에 이어 마진율을 실무에 이용하는 방법과 경쟁사에 마진율을 분석하여,
우리 회사가 이윤을 끌고 올 수 있는 방법을 찾는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저번 블로그에서 공부했던 마진 구하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마진율 |
공식 |
15% |
* 0.15 |
23% |
* 0.23 |
5% |
*0.05 |
예시) Q. 152,000원에 20% 마진을 붙인 가격은 얼마인가?
1) 152,000*0.2 = 30,400
2) 152000+30400= 182,400
A. 152,000원에 20% 마진을 붙이면 182,400원입니다.
이 내용은 저번 블로그에 작성했던 내용입니다.
위 수식은 두 가지 과정을 거쳐 값을 뽑아냅니다.
1. 구하고자 하는 값에 마진율을 구한다.
2. 구하고자 하는 값에 마진율의 구한 값을 더한다.
오늘은 이 공식보다 더 간단한 공식을 준비했습니다.
바로 1.00000입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계산 한 번으로 바로 마진율이 더해진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예시) 232,000원에 32% 마진율 붙이면 얼마일까?
공식) 232000*1.32 = 306,240
A. 232,000원에 32% 마진을 붙이면 306,240원입니다.
엑셀에 이 공식을 이용하면 많은 수량의 다양한 아이템의 최종 값을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마진율을 실무에서 이용하는 법을 배워볼까요?
자 여기 팀장님이 회사 자료를 검토하고 있네요.
먼가 뚱한 표정 이세요..
이번에 큰 규모의 프로젝트가 있었는데 우리 회사가 입찰에 떨어졌다고 합니다 ㅠ
왜일까요?
아이템의 퀄리티와 납기는 완벽했는데 말이죠..
그렇다면 십중팔구 가격경쟁력에서 밀렸다는 것을 가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팀장님은 어디론가 전화를 하시네요.
그리고 저에게 이번 입찰에 참가했던 경쟁사에 최종금액을 주시며 검토를 해보라고 하십니다.
(입찰에 참가했던, 경쟁사에 금액을 알아내는 것은 그 회사에 내규에 걸리는 일입니다. 윤리 상 맞지 않는 일이기도
하지만, 회사에 가격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공공연히 일어나는 일입니다.
보통 경력이 있으신 분들이, 입찰 관련자나 다른 경쟁사를 통해 알아내십니다. 직장인들도 항상 비밀유지를 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위의 표를 검토하면, 신축 프로젝트에 저희 회사는 5억 4천만 원에 입찰한 걸 알 수 있습니다.
다른 경쟁사와 비교했을 때, 제품 퀄리티와 납기 평가도 나쁘지 않습니다.
문제는 가격인데 B 컴퍼니와 무려 1억 5백만 원이나 차이가 납니다.
이 표를 보고 어느 정도 분석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먼저 마진율 1) 이 프로젝트 아이템의 기본 생산비용은 보통 3억 5천만 원입니다..
생산비용이 비슷하다고 가정했을 때, 입찰가에서 생산비용을 빼면 순이익이 나옵니다.
이 순이익을 통해 마진을 역산할 수 있습니다.
저희 회사의 경우 마진율을 35%로 측정했고, B사의 경우 마진율을 20%로 적게 잡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진율 차이가 이 정도 난다면, 여러 가지 추정을 해볼 수 있습니다.
1. B회사가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제조기술을 개발하였다.
2. 제조에 쓰이는 원재료를 아주 싼값에 구할 수 있는 공급처를 구했다.
3. 발주처와 모종의 커넥팅이 있었다.
4. 등등
이 내용을 통해, 다음 입찰이나 , 경쟁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겠죠?
사실 사무직이 몸 쓰는 일은 적으나, 이래저래 신경 쓸 것도 많고, 경쟁사에 스트레스받을 때
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입찰에 성공해, 상여금을 받는 등 예기치 못한 좋은 부분도 있으니까,
너무 스트레스받지 마시고 항상 긍정적인 마인드로 함께 이겨내 봅시다.
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구독하기 눌러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